1분 한자어 상식

[1분 한자어 상식] “폐지(廢止)” 그냥 없앤다는 뜻일까? 사라지는 것 뒤에 숨은 제도의 흔적

namini 2025. 6. 22. 06:06
반응형

● 오늘의 한자어: 폐지(廢止)


● 한자어의 뜻과 한자 풀이

**폐지(廢止)**는 기존에 존재하던 제도나 규정, 관행 등을 공식적으로 없애는 것을 의미합니다.

  • 廢(폐할 폐): 버리다, 없애다
  • 止(그칠 지): 멈추다, 중단하다

두 글자를 조합하면 ‘버리고 멈춘다’는 의미가 됩니다.
즉, 단순히 안 쓰는 것을 넘어, 공식적으로 더 이상 그 제도가 적용되지 않도록 ‘중단하고 제거’하는 상태를 뜻합니다.

이는 관습이나 시행 중인 제도, 법령 등을 제도적으로 효력을 없애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, 그 자체로 행정적·법적 의미를 강하게 갖습니다.


● 실생활 사용 예시

  1. "해당 제도는 2022년부로 공식 폐지되었습니다."
  2. "올해부터는 주민등록증 재발급 수수료가 폐지됐어요."
  3. "이 규칙은 현실과 맞지 않아 폐지 대상입니다."
  4. "근무시간 외 근무수당 지급 규정이 폐지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"
  5. "2015년부터 군복무 중 학점 인정 제도가 폐지되었어요."

● 관련 표현 / 비슷한 말

  • 폐기(廢棄): 물리적으로 버리거나 제거하는 것
  • 종료(終了): 기간이나 절차가 끝남
  • 무효화(無效化): 효력을 없애는 것
  • 중단(中斷): 진행되던 것을 멈추는 것
  • 삭제(削除): 일부 내용을 제거하는 것

폐지는 단순 종료와는 달리,
공식적 절차를 통해 효력 자체를 없애는 것이라는 점에서 훨씬 더 포괄적이고 강한 표현입니다.


● 이 단어를 알아야 하는 이유 (문해력 관점)

‘폐지’라는 단어는 행정고시, 법률시험, 공공정책 자료, 공문서, 학교 알림장, 기업 운영 매뉴얼 등 다양한 곳에 등장합니다.
하지만 이 단어를 ‘그냥 안 하게 됐다’는 수준으로 받아들이면,
변경인지, 종료인지, 삭제인지 같은 행정적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게 됩니다.

예를 들어,
“해당 규정은 일시 중단된 것이 아니라 폐지된 상태입니다.”
이 문장에서 ‘폐지’는 단순히 멈춘 게 아니라,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제도임을 뜻합니다.

문해력이란 단어의 뜻만 아는 것이 아니라,
제도적 의미, 법적 구분, 사회적 맥락 속에서 정확한 해석을 하는 능력입니다.

‘폐지’를 이해하는 것은 제도 변화에 대한 인식력
조직/사회에서의 변화 수용 능력까지 높여주는 핵심 문해력입니다.


● 기억에 남을 요약 문장

“폐지는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, 공식적으로 효력을 ‘끊는’ 것이다.”

 

반응형